2024 바뀌는 지원제도 대상은 청년, 군인, 가족, 노인,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다문화 한부모 등입니다. 23년과 비교하여 달라지는 제도와 새롭게 생성된 정책이 있으니 본인에게 해당사항 있는 것들이 있는지 사전에 살펴보고 기간 내에 신청하세요.
목차
2024 바뀌는 지원제도 총정리
각 분야별로 달라지는 내용을 살펴본 뒤 대상자, 신청 조건, 신청방법 등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지원이 확대되어도 신청방법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함께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 청년
취약청년의 경우 신체·정신건강 개선 자기돌봄비와 청년의 기술자격시험, 청년 플랫폼 등 생활지원과 자립기반의 정책이 신규로 생성됐습니다.
구분 | 정책 | 2023 | 2024 | |
취약 청년 |
가족돌봄 청년 | 가족돌봄서비스 바우처 기간 확대 |
6개월 (하반기 시행) | 12개월 |
신체, 정신건강 개선 자기돌봄비 | - | 분기당 50만 원 (연 최대 200만 원 지원) 신규 |
||
생활지원 | 공동주택 (분양/임대) | 분양 : 5.3만 호 임대 : 5.2만 호 |
분양 : 6.7만 호 임대 : 5.7만 호 |
|
대중교통 요금 할인 K-PASS |
알뜰교통카드 (~'24.6) | 청년 30% 할인 (일반 20%, 저소득층 53%) |
||
기술자격시험 | - | 응시료 50% 할인 (신규) | ||
기초, 차상위 국가장학금 | 700만 원 ~ 전액지원 | 전액지원 | ||
자립기반 | 자립수당 (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
40만 원 / 월 (5년간) |
50만 원 / 월 (5년간) |
|
빈일자리 취업장려금 (조선, 물류 등) | - | 최대 200만 원 (6개월간) /신규 | ||
첨단산업 훈련지원 | 반도체 920명 | 반도체, 이차전지 2,450명 | ||
NEET 청년 플랫폼 | - | 10개소 (신규) |
1. 취약청년 신체·정신건강 개선 자기 돌봄비 : 최대 200만 원
2. 기술자격시험 : 응시료 50% 할인
2. 군인
군인의 경우 군인의 봉급과 사회진출 지원금, 초급간부 복무장려금 모두 인상됐으며, 복무환경의 노력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봉급 (병장기준) | 100만 원 / 월 | 125만 원 / 월 |
사회진출 지원금 | 30만 원 | 40만 원 |
복무환경 | - | 얼음정수기 및 플리스형스웨터 지급 (신규) |
초급간부 복무장려금 | 장교 : 900만 원 부사관 : 750만 원 |
장교 : 1,200만 원 부사관 : 1,000만 원 |
1. 봉급 (병장기준) : 25만 원 인상
2. 사회진출 지원금 : 10만 원 인상
3. 초급간부 복무장려금 지원액 인상
3. 육아지원
올해에 가장 달라진 육아정책은 육아휴직기간과 맞돌봄 특례지원 금액으로 조건만 충족한다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비고 |
육아휴직기간 | 최대 12개월 | 최대 18개월 |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시 |
맞돌봄 특례지원 | 최대 300만 원 / 3개월 | 최대 450만 원 / 6개월 | 영아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시 |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 지원 | 5일 | 10일 | (중소기업 근로자)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8세 이하, 최대 24개월, 주 5시간 내 100% 급여 지원 |
12세 이하, 최대 36개월, 주 10시간 내 100% 급여 지원 |
- |
업무 분담 지원금 (동료) | - | 업무분담 시 월 20만 원 지원 | 육아기 단축근로자 동료 (신규) |
1. 업무 분담 지원금 : 월 20만 원 지원
육아휴직제도 신청
우리나라에선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육아휴직제도가 있습니다. 휴직 급여 인상 및 지원금 등 다양한
yuris21.tistory.com
4. 양육비지원
부모급여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지급금의 차이가 있으며, 작년에 이어 24년도 인상됐습니다. 더불어 각 거주지마다 다양한 출산 지원금 혜택 등이 존재하니 꼭 확인하세요.
구분 | 2023 | 2024 |
둘째이상 자녀 출산 시 첫만남 이용권 지원금액 |
200만 원 | 300만 원 |
0세 자녀 부모급여 | 70만 원 / 월 | 100만 원 / 월 |
1세 자녀 부모급여 | 35만 원 / 월 | 50만 원 / 월 |
미숙아 의료비 지원소득요건 | 중위 180% | 폐지 |
2023 출산 지원금 혜택
2023 출산 지원금은 크게 첫 만남이용권, 진료비, 장려금, 전기세할인, 부모급여, 아동급여로 나뉘며, 최대 300만 원이상 수령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통합으로 신청가능하며,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yuris21.tistory.com
5. 출산가구 주거지원
2024년에는 출산가구 저리 융자지원 소득요건을 대폭 완화하며, (1.3억 원 이하) 출산가구 특별공급을 새롭게 신설했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주택구입 | 주택가액 6억 이하, 4억 한도 | 주택가액 9억 이하, 5억 한도 |
전세자금 | 보증금 4억 이하, 3억 한도 | 보증금 5억 이하, 3억 한도 |
출산가구 특별공급 | - | 분양 특별공급, 임대 우선배정 (신규) |
6. 난임지원
2024년부터는 출산가구 지원뿐만 아니라 난임 지원의 폭도 점차 넓혀가고 있으며, 냉동난자 이용 지원, 가임력 검진 지원 등 모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가임력 검진 지원 | 자비 | 5~10만 원 지원 |
냉동난자 이용 보조생식술 지원 | - | 회당 100만 원 (최대 2회) 신규 |
난임휴가 (중소 기업 근로자) | 무급 | 유급 2일 |
7. 저소득층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주거, 생계, 의료, 교육급여는 2024년부터 모두 금액이 인상되었으며, 특히 생계급여의 인상 폭이 커졌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
생계급여 |
생계급여 최대 급여액 | 월 162만 원 |
월 183.4만 원 ( 21.3만 원 인상 / 13.2%) |
||||
생계급여 지원대상 (중위소득) |
30% 이하 |
32% 이하 (3.9만가구 신규지원) |
|||||
주거급여 |
주거급여 최대 급여액 (서울, 4인가구 기준) |
월 51만 원 |
52.7만 원 (1.7만 원 인상) |
||||
주거급여 지원대상 (중위소득) |
47% 이하 |
48% 이하 (2만 가구 신규지원) |
|||||
의료급여 (중증장애인) |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
폐지 |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
초등학생 41.5만 원 |
중학생 58.9만 원 |
고등학생 65.4만 원 |
초등학생 46.1만 원 |
중학생 65.4만 원 |
고등학생 72.7만 원 |
2023년 생계급여 인상된다
기준 중위소득은 2022년 현재 기초생활보장 보장제도를 비롯한 12개 부처에서 76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최근 기준 중위소득의
yuris21.tistory.com
8. 다문화 한부모
기존에 많은 지원이 없던 다문화·한부모의 대한 지원이 많이 신설됐습니다. 저소득층 다문화자녀는 교육활동비 등을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구분 | 2023 | 2024 | ||
저소득 다문화자녀 교육활동비 (중위소득 50~100%) / 신규 |
- | 초등학생 40만 원 |
중학생 50만 원 |
고등학생 60만 원 |
다문화자녀 특화 직업훈련 / 신규 | - | 200명 | ||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 신규 | - | 1,500명 | ||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대상 확대 | 중위소득 60% 이하, 만 18세 미만 | 중위소득 63% 이하/ ~고등학교 재학 (3.2만 명 확대) |
9. 장애인
올해도 장애인 연금이 인상됐으며, 장애인의 다양한 활동지원 프로그램들도 늘어났기 때문에 올해 지원 신청을 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장애인 연금 | 최대 월 40.3만 원 | 최대 월 41.4만 원 |
장애인 취업성공 패키지 | 1.1만 명 | 1.3만 명 |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확대 | 11.5만 명 | 12.4만 명 |
중증장애아 돌봄지원 (학습, 놀이활동 지원) |
월 80시간 | 월 90시간 |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 12개 | 16개 |
최중증 발달장애인 단계별 1:1 돌봄 (신설) |
- |
그룹형 (주간) : 1,500명 개별 (주간) : 500명 24시간 : 340명 / 기존 1개소 |
2023 장애인 연금 신청방법, 자격 조건
2023 장애인 연금은 사회보장제도로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나뉩니다. 중증장애인이면서 만 18세 이상인 자가 대상자이며, 기초급여는 매월 323,180원의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합니다. 신청은 복지
yuris21.tistory.com
10. 노인 일자리
노인일자리 수당 6년만에 월 2~4만 원 인상됐으며, 노인일자리 수 도 14.7만 명 늘어났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공익형 (교통도우미, 보육시설, 봉사 등) |
월 27만 원 | 월 29만 원 (30시간) |
사회서비스형 (학습보조, 공공행정 지원 등) |
월 59.4만 원 | 월 63.4만 원 (60시간) |
노인일자리 수 | 83.3만 명 (노인인구의 9.3% 수준) |
103만 명 (노인인구의 10.3% 수준) |
2023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총정리
2023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의 유형은 공익활동, 사회서비스형, 민간형으로 나누어집니다. 참여는 만 65세 이상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원하는 모집일정 공고 확인 후, 동 주민센터나 가
yuris21.tistory.com
11. 노인 소득, 돌봄
구분 | 2023 | 2024 |
기초연금 (65세 이상, 소득하위 70%) |
월 32.3만 원 / 665.0만 명 | 월 33.4만 원 / 700.6만 명 |
중점 돌봄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확대 (가사, 병원동행 등) |
월 16시간 | 월 20시간 |
응급안전 관리요원 확충 (독거노인, 조손가구 등) |
696명 | 766명 |
2023 기초연금 신청방법, 자격 조건 총정리
2023 기초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 만 65세 이상 도달할 때 일정 소득인정액을 만족한다면 받을 수 있는 제도로 단독가구는 대략 32만 원을, 부부가구는 64만 원 수령가능합니다. 신청은 온라인 또
yuris21.tistory.com
12. 보훈
구분 | 2023 | 2024 |
보훈 보상금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 |
월 351만 원 | 월 368만 원 (상이유공자 1급 1항 기준) |
참전 명예수당 (6.25전쟁 및 월남전 참전유공자) |
월 39만 원 | 월 42만 원 |
국가유공자 진료 위탁병원 확대 | 740개 | 840개 |
히어로즈 패밀리 (순직군경 유가족 중 미성년자) |
- | 직종별 교류캠프 (연 2회) 문화예술 스포츠관람 (연간 60만 원) |
참전용사 예우 강화 (월남전 참전유공자) |
- | 제복 증정 (신규) |
13. 소상공인,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경우 저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정책자금 등이 많이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고효율 냉난방기 설치 등의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냉방설비 설치, 개방형 냉장고 문닫기 | - | 고효율 냉난방설비 6.4만대 보급 (신규) |
취약차주 고리(평균 11%)대출 저리(평균 4%)정책자금으로 대환 | - | 이자비율 1인당 연 390만원 인하 (총 1만명) / 신규 |
고용보험료 지원대상 비율 확대 | 대상 : 2.5만 명 / 비율 : 최대 50% | 대상 : 4만 명 / 비율 : 최대 80% |
2023년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사업
2023년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은 고용하고 있는 근로자가 없거나, 50명 미만 근로자를 사용한 사업자 중 가입 희망자가 가입할 수 있는 사업으로 납부한 고용보험료를 최대 50% 환급 지원해 줍
yuris21.tistory.com
'투자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개통 가능한 시간 및 일자 확인, 개통수량 조회방법 총정리 (0) | 2023.12.17 |
---|---|
핸드폰 개통일 정보의 모든 것 바로가기 (0) | 2023.12.17 |
차 사고 났을 때 꼭 받아야하는 보상금 5가지 총정리 (0) | 2023.12.14 |
2024 공휴일 일수 및 대체공휴일 총정리 (0) | 2023.12.01 |
2024 서울 공공예식장 신청방법 및 자격 조건 총정리 (1) | 2023.08.28 |
댓글